본문 바로가기
치과 치료가 궁금해요!

유치[젖니]는 언제 나고 언제 빠지나요? 영구치 맹출 시기

by 써니업 2022. 10. 27.

 

 

 

유치[젖니]는 언제 나고 언제 빠지나요? 

영구치 맹출 시기

 


어른이 된 우리도 유아기 시절을 다 겪었지만,
언제 이가 나고 빠졌는지 기억이 잘 안 날 겁니다.

그래서 자녀의 이가 생각보다 빨리 날 때,
생각보다 이가 맹출 하지 않을 때,
다른 아이보다 이가 늦게 빠질 때,
이가 안에서 나는데 흔들리지 않을 때 등

아이에 대한 걱정으로 
놀라서 치과에 방문하십니다.

 

 

유치 영구치 썸네일

 


이제 우리는 유치(젖니)가 언제 나는지,
또 언제 빠지는지, 영구치는 언제 나는지?


유치의 이름을 뭐라고 하는지,
영구치의 이름이 무엇인지 

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
<< 유치 >>

 


유치는 평균 생후 6개월부터 올라오기 시작해 2~ 3살 전후로 모두 맹출 하게 됩니다. 그렇다면 유치의 이름은 무엇인지, 치과에서 부르는 유치의 이름은 무엇인지, 언제 나오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
1. 유치의 이름, 번호, 알파벳


1) 유치의 이름

 

: 맨 가운데 이를 유 중절치, 바로 옆의 두 번째 앞니를 유 측절치, 그리고 송곳니를 유 견치라고 하고, 어금니 2개를 제1, 제2 유구 치로 부릅니다.

 

2) 유치의 번호 

 

: 앞니부터 어금니까지 1번~ 5번을 붙이게 되는데 영구치는 10번 대~ 40번 대까지 사용하고 유치는 50번 대~ 80번 대를 사용합니다. 즉, 오른쪽 위 맨 앞니인 유 중절 치는 51번이 되고, 왼쪽 위 맨 뒤 치아인 제2 유구치는 65번이 됩니다.


3) 알파벳

 

: 앞니부터 어금니까지 A, B, C, D, E를 붙이게 됩니다. 즉 유중철 치는 A, 유 견치는 C, 제2 유구치는 E로 표기하고 있습니다.

 

 


2. 유치의 개수

유치는 앞니부터 어금니까지 5개가 오른쪽, 왼쪽에 위치합니다. 즉 윗니 10개, 아랫니 10개 해서 유치는 총 20개입니다.


3. 유치 맹출 시기

이는 번호 매긴 순서대로 올라오지 않습니다. 보통 앞니 4개가 올라온 뒤 송곳니가 올라오는 게 아니라 어금니가 올라오게 됩니다. 그리고 마지막으로 송곳니가 올라옵니다. 기억해 두시면 좋습니다. 


아래 유 중절치 (6개월~ 10개월)

위 유중철치 (8개월~12개월) 

아래 유 측절치 (8개월~ 12개월)

위 유 측절치 (9개월~ 13개월)

위 제1 유구치 (13개월~ 19개월)

아래 제1 유구치 (14개월~ 28개월)

위 유 견치 (16개월~ 22개월)

아래 유 견치 (17개월~ 23개월)

아래 제2 유구치(23개월~ 31개월)

위 제2 유구치 (25개월~ 33개월)


유치 맹출 시기와 빠지는 시기




결손이나, 구강의 형태 등에 따라

 순서가 다를 수 있습니다. 

만약 다르다면 치과에 방문해 확인하여

 보는 것이 좋겠습니다.

 

 

 



4. 유치 빠지는 시기

유치는 맨 처음 아래 앞니를 시작으로 유 견치(송곳니) 혹은 제2 유구치가 마지막으로 빠지게 됩니다. 그렇다면 몇 살 정도에 빠지게 될까요?

아래, 위 유 중절치 (6~ 7세) 

아래, 위 유 측절치 (7~ 8세)

아래, 위 제1 유구치 (9~ 11세) 

아래 유 견치 ( 9~ 12세)

위, 아래 제2 유구치 & 위 유 견치 (10~ 12세) 

 


생일이나 영구치의 유, 무 등

구강 환경에 따라

같은 나이 또래들과 시기가 빠르거나

느릴 수 있습니다.

만약 시기가 많이 지났거나

너무 빠르다면 치과에 내원하여

엑스레이를 촬영하면

원인이나 빠지는 시기를

추측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<< 영구치 >>


그렇다면 영구치는 언제 나올까요? 유치가 빠지면서 나오는 영구치도 있지만 큰 어금니들은 유치의 뒤편에서 맹출 하게 됩니다. 그렇다면 언제 영구치가 나올까요?

 

1. 영구치 이름과 번호

1) 영구치 이름


맨 가운데 앞니, 대문이라고 불리는 앞니의 이름은 중절 치입니다. 그리고 그 옆에 작은 앞니는 측절치, 그리고 송곳니는 견치이며, 유치와 다르게 작은 어금니 2개가 더 있습니다. 그 작은 어금니를 제1 소구치, 제2 소구치라 명명합니다. 또 제2 유구치의 뒤편에서 나오는 어금니가 제1 대구치, 제2 대구치라 합니다. 그리고 맨 뒤편에 나오는 치아는 사랑니로 제3 대구치라 합니다.

2) 영구치 번호

 

유치와 다르게 앞니부터 어금니까지 1번~ 7번을 사용하고, 사랑니는 8번입니다. 그렇게 오른쪽 위 치아들은 10번 대, 왼쪽 위 치아들은 20번 대, 왼쪽 아래는 30번 대, 오른쪽 아래는 40번 대를 붙여 사용합니다. 예를 들면 오른쪽 위 중절 치는 11번, 왼쪽 아래 송곳니는 33번, 오른쪽 아래 제1 소구치는 44번, 왼쪽 위 사랑니는 28번이라 명명합니다.

 

2. 영구치 개수

영구치는 앞니부터 두 번째 어금니까지 총 7개의 치아로 되어있습니다. 그리하여 윗니 14개, 아랫니 14개씩 총 28개이며, 사랑니까지 포함하면 28개에서 32개를 가지고 있습니다.

 

3. 영구치 맹출 시기

영구치는 유치가 빠진 자리에 나오는 이도 있고, 유치의 뒤편에서 유치가 빠지기 전에 나오는 이도 있습니다. 

아래 중절치 (6~ 7세) 

아래, 위 제1대 구치 (6~ 7세)

위 중절치 (7~ 8세)

아래 측절치 (7~ 8세)

위 측절치( 8~9세)

아래 견치 (9~ 10세)

제1,2 소구치(10~ 12세)

위 견치 (11~ 12세)

아래 제2 대구치 (11~ 13세)

위 제2 대구치 (12~ 13세)

사랑니 (17~ 위치에 따라 맹출 되는 시기가 늦을 수도 있음)

 

영구치 맹출시기

 

 

유치의 뒤편에서 나오는 제1 대구치는 이가 빠지지 않고 뒤에서 나오기 때문에 영구치인 줄 모르고 방치하다 썩는 경우가 많습니다. 6세 구치라고도 불리는 이 치아는 사람이 평생 살아가면서 씹는 일을 하는 치아 중에 가장 중요한 치아이므로 정기검진을 통해 씹는 면이 다 맹출 하게 되면 ‘치아 홈 메우기’라는 충치 예방 치료하시면 좋습니다.


 

선천적 결손이나 과잉, 치열, 구강의 형태에 따라

이의 개수나 맹출 시기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통해 건강한

구강 상태를 유지하시는 게 필요합니다.



 

위 자료는 참고로만 이용해 주시고 

정확한 내용은 치과에 가서 

진단과 상담을 통해 알아보시는 것이 좋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

댓글